안녕하세요 메가한의원 입니다.
실수로 사물에 발가락을 찧는 경우나
운동 중 발가락에 부상을 입는 경우,
교통사고로 인한 외상을 입은 경우,
별다른 사고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사용에 의해 발가락이 불편한 경우까지!
다양한 경우에 발가락 골절이 생길 수 있는데요.
골절 치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발가락 골절
발은 26개의 뼈와 100개가 넘는 힘줄과 인대, 신경, 혈관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신체 부위 입니다.
그 중 특히 발가락은 여러 조직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뼈·관절이 붓고 아픈 원인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골절이 발생하게 되면 반드시 자연치유 보다는
치료가 필요한 부위인데요.
발가락은 외부 충격으로 인해 뼈가 손상되었거나,
뼈에 붙은 인대가 당겨져 생긴 견열 골절이거나,
반복적인 동작이 반복되어 발생한 피로 골절도 생길 수 있습니다.
발가락 골절이 생긴 경우
앞으로 몇 주간은 체중을 싣는 운동(걷기, 달리기 등)은 피해주고
뼈가 빨리 아물 수 있도록 한의원 치료를 병행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골절 증상으로는 해당 부위 피부에 멍이 생기면서 부기, 통증과 압통이 생기게 되며
특히 발가락 골절은 간혹 발톱의 색상이 어둡게 변하기도 합니다.
체중이 실릴 때마다 통증이 느껴지기 때문에
제대로 걷는 것도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치료 방법
발가락뼈 골절 시 환자에게 염좌나 연골의 손상이 발견되지 않으면
약 한 달 ~ 두 달 사이의 치료 기간을 가지도록 권장 드리고 있습니다.
경미한 통증과 실금이 생긴 정도의 골절은
냉찜질을 틈틈히 해주며 꾸준한 치료와 함께
골절부를 서서히 고정하시면 됩니다.
골절 후유증
발가락뼈 골절 치료가 초기에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증상이 쉽게 호전되지 않은 경우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발가락뼈 골절의 후유증은 해당 부위와 그 주변까지
통증과 주기적으로 시린 느낌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세는 많은 시간이 지나 나아지기도 하지만,
방치해 두었다가 관절 기능 장애까지 동반될 수 있습니다.
골절이 발생한지 1달 이상이 지났음에도
골진이 원활하게 생성되지 않았다면
골절 지연유합, 골절 불유합을 우려해 보아야 합니다.
지연유합은 골절의 범위가 클수록 회복이 느려지기 때문에 관리하는데 있어
더욱 신경써주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한의원 치료

건강 관리, 체중 관리, 질환으로 고민있으신 분들은
논산 계룡 강경 부여 공주 부근 한의원이나 병원 의원에 내원하셔서
상담 진료 받아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월~금요일 : 09 ~ 19시 (점심시간 12시 30분 ~ 14시)
- 토요일 : 09~13시 30분
- 일요일 : 입원 진료 (신규 입원 가능)
- 카카오톡 채널 : 메가한의원
- 전화번호 : 041-435-8288
모든 포스팅은 의료법 56조1항을 준수하고 작성하였습니다.
모든 치료는 개인마다 차이가 있고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임의로 치료하지 마시고 한의사와 상의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